AWS RDS 설정
1. 전에 만들었던 VPC의 퍼블릭 서브넷에 RDS를 배치
- vpc > 서브넷 > 서브넷 생성 으로 이동
- 전에 만들었던 VPC 선택
- 이름 입력
- 가용 영역 선택
- IPv4 서브넷 CIDR 블록 입력 (10.0.3.0/24)
2. 방금 만든 서브넷을 라우팅 테이블에 연결
- 라우팅 테이블로 이동
- 하단 서브넷 연결 > 서브넷 연결 편집 이동
- 새로 만든 서브넷 선택 > 연결 저장
- 아래 subnet-01은 예전에 만들어놨던 것임
3. DB 서브넷 생성
- rds 검색 후 이동
- 서브넷 그룹 이동
- [DB 서브넷 그룹 생성]으로 이동
- 이름 입력
- 설명 입력
- 내가 만든 VPC 선택
- 만들었던 서브넷 선택
4. DB 생성
- 미리 VPC > 내 VPC 선택 > 작업 > 편집 > DNS 설정 > DNS 호스트 이름 활성화 체크되어 있어야 함
- 데이터베이스 이동
- [데이터베이스 생성] 선택
- 표준생성 선택
- MySQL 선택
- 템플릿 프리티어 선택
- DB 이름 입력
- 마스터 사용자 이름과 마스터 암호 입력
- (선택) 스토리지 자동 조정 체크 해제
- 돈 덜 나감
- 내가 생성한 VPC, DB 서브넷, 퍼블릭 액세스 - 예 선택
- 보안그룹은 VPC 설정 시 만들었던 보안 그룹 넣기
- 추가구성 - 자동 백업 해체
5. RDS 원격 접속
- 생성된 Database 상세 페이지로 이동 > 엔드포인트 복사
- DataGrip 실행
- [+ > Data Source > MySQL > MySQL] 선택
- [+ > MySQL] 선택
- host에 아까 엔드포인트 입력
- user에 마스터 사용자 이름 입력
- password에 마스터 암호 입력
- TestConnection 입력 후 Succeeded라고 뜨면 성공
'Server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.ssh] error in libcrypto***@***: Permission denied (publickey). (0) | 2025.01.05 |
---|---|
[MySQL/EC2] EC2 MySQL 외부(DataGrip) 접속 (0) | 2024.12.27 |
[AWS] 가비아 도메인 연결 (+ HTTPS) - EB 기준 (0) | 2024.08.28 |